티스토리 뷰

[root@localhost ~]# ls -l

drwxr-xr-x 3 root root 4096 Oct 29 2016 src

 

drwxr-xr-x 이것의 의미가 과연 무엇일까? 그리고 이건 755라고도 말한다.
리눅스 서버에 접속해 directory 또는 file을 검색할 때 많이 본 내용이다.
 
drwxr-xr-x 는 퍼미션(Permission)에 관한 내용을 볼 수 있게 표기해 놓은 것이다.

 

제일 앞에 있는 d 는 directory 라는 의미이다. 
만약 앞에 - 로 표기 되어 있다면 이것은 파일이라는 의미이며 l 은  symbolic link를 의미한다.
 
두번째 글자부터 해당 정보의 권한을 나타내는데 rwx 로 표기된다.
r은 읽기 read , w는 쓰기 write , x는 실행 execute , -는 해당 권한이 없음을 의미한다.

 

읽기 - directory라면 파일을 볼 수 있는 권한, 파일이라면 파일 내용을 볼 수 있는 권한
쓰기 - directory라면 파일을 추가/삭제 할 수 있는 권한, 파일이라면 내용을 바꿀 수 있는 권한
실행 - directory라면 directory 간의 이동/수정/삭제 등의 권한, 파일이라면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등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
 
rwx라면 읽기,쓰기,실행 모두를 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하며 r-x 라면 읽기와 실행 권한만 있다는 것을 의미한다.
그리고 rwxr-xr-x 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여기에 접근할 수 있는 계정 별 권한이다.
 
첫번째 rwx 는 소유자, 두번째 rwx는 그룹 사용자, 마지막 rwx는 그 외 사용자에 대한 권한이다.
 
이 권한을 보통 숫자로 표현하는데 각 문자는 2^n(2진법) 으로 표현하며 r은 2^2, w는 2^1, x는 2^0, - 는 0으로 표현한다.

drwxr-xr-x 3 root root 4096 Oct 29 2016 src
 
drwxr-xr-x 를 숫자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.
r w x r - x r - x
2^2 2^1 2^0 2^2 2^1 2^0 2^2 2^1 2^0
4 2 1 4 0 1 4 0 1
7 5 5
숫자로 표현된 것을 계정 권한 별로 더한 후 표현하면 755가 된다.
 
 

 

댓글